목록분류 전체보기 (134)
채린씨의 티스토리
* 입출력 - 운영체제에서의 대표적인 입출력은 표준 입력 / 표준 출력 / 표준 오류 출력 * 표준 입력(stdin) - 일반적으로 키보드의 응답을 받아 입력 - 프로그램의 데이터 추가 가능 - 알고리즘에서는 문제의 testcase 입력을 위해 사용 * 표준 출력(stdout) -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모니터에 문자열로 출력 -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 혹은 실행 결과 확인 가능 - 알고리즘에서는 문제의 정답 확인, 디버깅 용도로 사용 [입출력 예제] Dracula 테마 너무 귀 여 워 // fs(file system) 라이브러리 가져오기 const fs = require("fs"); //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input.txt 파일 읽어와서 변수 input에 저장 const input = fs.readFil..
* JavaScript란? - 객체 기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- 웹 브라우저 내에서 주로 사용하며,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내장 객체에도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짐 - Node.js와 같은 런타임 환경과 같이 서버 프로그래밍에도 사용 - Mocha -> LiveScript -> JavaScript로 이름 변경 - java와 구문이 유사한 점도 있지만, 두 언어 모두 C언어의 기본 구문에 바탕을 뒀기 때문일 뿐 직접적인 연관은 없음 - 이름과 구문 외에는 java보다 Self나 Scheme과 유사성이 많음 - EcmaScript의 표준 사양을 가장 잘 구현한 언어로 인정받고 있음 - JS 엔진 위에서 수행 * EcmaScript란? - Ecma International이 ECMA-262 기술 규격에 ..
[오프라인 개발환경 구성] 1. Node.js Node.js란..? 더보기 * Node.js란? - Node.js는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(특히 서버 사이드)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. 작성 언어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하며 논블로킹(Non-blocking) I/O와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를 통한 높은 처리 성능을 가지고 있다. 내장 HTTP 서버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어 웹 서버에서 아파치 등의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웹 서버의 동작에 있어 더 많은 통제를 가능케 한다. (출처: 위키백과) * 서버 사이드란? - 서버 사이드(server-side)란 네트워크의 한 방식인 클라이언트-서버 구조의 서버 쪽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말한다. 이는 클라이언트..
JavaScript 기초 문법을 공부하기 전에, * 왜 코딩 테스트를 보는가? - SW 기본 역량(문제 해결 능력 + 구현 능력)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유용한 방법 * 기출 문제 유형 : 탐욕 알고리즘, Binary Search, BFS, DFS, 구현, Graph, Hash, Priority Queue, DP, Trie... * 대표 문제 유형 - 구현 : 코딩을 통해 문제의 요구사항을 해결하여 답을 도출하는 유형 - 완전 탐색(DFS/BFS) : 컴퓨터의 빠른 계산 능력을 기반으로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찾아서 답을 도출하는 유형 - 탐욕 알고리즘 : 당장 최적인 답을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답을 도출하는 유형 * 코딩 테스트 플랫폼 - programmers(https://programmers.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MZMNN/btruE7XS0ar/bsdOphdM8DvdNmKSXN3LG0/img.png)
Python과 C++로 코딩테스트 준비를 해 본 경험이 있고, 이 외에도 C, java 언어를 배워본 경험이 있으므로 빠르게 훓고 넘어갈 것이다. 1. Basic : 기본 입출력, 자료형(원시적/객체 자료형), 연산자 등 2. Condition : if, if else, switch 등 3. Iteration : for, while, do ~ while 등 4. Function : 함수란, 재귀 함수, call by value/reference 등 5. Basic Object : Number, String, Array 등 열쩡! 열쩡! 열쩡! ㅎ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93B4P/btq45PAIuTF/935rBkxOhlX0SE0lEK6yik/img.png)
*** 기술블로그 제출용 통합본 ***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프로그램 이름이나 제작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인트로 로딩 씬을 만들어 보았다. 1. Intro 씬과 Main 씬을 만든다. - Intro 씬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원하는 시간동안 로딩이 진행된 후 자동으로 Main 씬으로 넘어가도록 할 것이다. - 나중에 Main 씬임을 알아볼 수 있도록 아무 이미지나 올려두자. Main 씬임을 알기 쉽도록 아무 이미지나 올려두었다. 2. Intro 씬에서 UI > Canvas를 추가한다. 3. Canvas에 배경이 될 Panel을 올린다. 4. Panel에 Image나 Text(TMP)를 올린다. 여기까지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. Image와 Text(TMP)가 차례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도록 하기 위해서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KW2f/btq5f3knyAK/kBRXcy4THEhDoB6DwKGus0/img.png)
오늘은 유니티에서 상하 스크롤뷰를 만들어 볼 것이다. 그냥 스크롤뷰를 만드는 건 어렵지 않지만, 우리의 목표는 스크롤뷰 안의 콘텐츠가 자동정렬 되록 하는 것! 어렵지 않으니 따라해보자! 1. Scroll이라는 새로운 Scene을 하나 만들어주자. 2. UI > Canvas를 만들어주자. 3. Canvas 위에 배경이 될 Panel 하나를 올려주자. 4. Panel 위에 Text(TMP)를 올려 제목도 하나 써주자. 여기까지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. 5. 이제 Panel 위에 Scroll View를 하나 만들어준 후 아래와 같이 크기와 위치를 적당히 조절해준다. 6. 우리는 상하 스크롤뷰를 만들 것이므로 Hierarchy 창에서 Scrollbar Horizontal을 삭제한다. Scroll View의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EPV0/btq5fgRpu8I/rofzR3QydadQYkPis4ModK/img.png)
오늘은 유니티 UI중에 탭 메뉴를 만들어 보자. 이미 완성된 UI 에셋들이 유니티 에셋스토어에 많이 올라와 있기는 하지만.. 우리가 산 에셋에는 탭 메뉴가 없어서 내가 직접 만들었다.. 흙.. 1. TabMenu라는 새로운 Scene을 하나 만들어주자. 2. UI > Canvas를 만들어주자. 3. Canvas 위에 배경이 될 Panel 하나를 올려주자. 4. Panel 위에 Text(TMP)를 올려 제목도 하나 써주자. 여기까지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. 5. 이제 탭 버튼이 될 세 개의 버튼 그룹을 만들자. Hierarchy 창에서 Create Empty를 눌러 빈 오브젝트를 생성한 후 이름을 Buttons로 바꿔주자. 그리고 Canvas 위로 올려주자! Buttons 안에 세 개의 버튼을 생성한 ..